100만원대 디지털피아노 & 고가 디지털피아노 정리.

안녕하세요! 예전에 야마하 CLP시리즈, 카시오 GP시리즈 야마하 YDP시리즈 정리글을 올렸었습니다!

이번에는 100만원대로 정리를 하려고 하는데 디피가 너~~~~~~무 많네요 ㅠㅠ

카페를 뒤적뒤적하며 수집한 정보들입니다!






경고 : 사람마다 터치감과 음색의 취향이
       다를 수 있습니다. 
       정리해놓은 글은 참고용으로만 보시고
       실제 매장에 가서 직접 연주해보시고
       비교해보시길 바랍니다.

가격은 네이버 최저가로 올렸습니다
참고용으로만 봐주세요



P-105(비슷함) P-115(음색) = PX-160(타건) > 다이나톤 DPP-710 > DPP-610

카시오 PX-160(피아노대용) < PX-350(다양한 음색,리듬) < PX-360 
롤랜드 FP-20 < FP-30 (100만원이하 건반,음원등 스테이지형 모델 중에서 가장 뛰어난 모델) < FP-50 FP-80 < FP-90



코르그

코르그 B1 \419,400(직구) \479,000(정품) 
                                         코르그 B1 코르그 특유의 힘있는 울림.
                                        가격 낮은 건반에서 느끼는 이질적인 디지털소리같은 느낌이
                                        거의 나지 않는다고함.피아노 연주에 중점을 둔 모델.
                                       야마하p-115보다 묵직하고 건반소음 역시 생각외로 작음.
                                       눌렀다 다시 건반이 올라오는 속도가
                                많이 민첩하지 못해 빠른곡을 칠땐 아쉬움이 든다고 함.
                                (센서의 반응이 따라가지 못함)
                                     40만원대에선 p-45보단 코르그b1이 좀 더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
                                 스펙적으로 음원의 기술적 등급과 완성도가 더 높기때문.
                                     B1의 경우 야마하 p-115급에 준하는 부가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왜곡 방지 저음보강들의 야마하 p-115 급에서 지원 혹은
                                      미지원하는 기능도 탑재되어 있으며,
                                      nh건반의 경우 야마하의 GHS건반보다 타건감에 있어서 평이 더 좋음.
                                      카시오PX-160과 야마하P-115과 비교할경우 코르그B1이 음색과
                                      타건감에서 좀더 좋다. 그러나 미디기능을 사용할 사람이라면
                                      이제품에선 지원하지 않으니 주의.


코르그 SP-170S \500,000 성능은 p-115가 더 좋음. 
                                          야마하P-45와 비교할때둘다 괜찮은 모델
                                                  야마하 GHS 건반과 코르그 NH건반은 동급건반
                                                  코르그 NH건반 자체가 야마하 GHS건반을 참고하여 
                                                  만들어진 건반으로 정말 비슷한 타건감을 보여줌
                                        저렴한 금액에 GHS급 건반, 120폴리 등을 즐길 수 있음 
                                                30-50만원에서 최상의 선택 야마하P-45와 비슷한급


코르그 LP-380 \810,000(병행) \849,000(정품)
                                      경쟁모델로 야마하YDP-162임. 건반도 야마하
                                       GH건반급으로 평가중 스펙은 P-115보다 높은급임.
                                              콘솔형이라 건반덮개가 있음.100만원 이하모델에선
                                               가성비가 괜찮음. 뾰족한 소리.
                                        코르그LP-380은 YDP-162급 성능을 보여주는 기종으로
                                               가성비가 무척 좋은 모델로 평가.
                                        타건감도 괜찮게 평받고 있는 모델.





다이나톤

다이나톤 3160S \1,632,020 이건반은 F-140과 비교시 순수성능으로
                                            따지면 밀린다. 
                                                    롤랜드의 일본제조사의 주력모델들과 비교하기에는
                                                    부족한감이 있다 ㅠㅠ


다이나톤 DPP-610 \600,360 야마하P-105와 커즈와일 KA-110과 비교할때
                                                      음색상관없다면 이제품이 좀더 대중적이고 나음.
                                                      디자인은 직사각이 아니고 곡선이라 호불호가
                                             갈림. 건반 묵직함.  그리고 큼 
                                                      ARHA건반사용 야마하의 GH건반급으로 평가받음. 
                                                     타건감과 기능을 고려한다면 이제품 좋음.
                                            P-115와 비교해도 기능과 건반이 더 앞섬
                                                     카시오 PX-350과 서로비슷한급 
                                                     둘다 리듬기능,피치밴드 조정기능,자동반주기능
                                                     건반은 둘다 괜찮다는 평, 
                                                     건반소음 억제 부분은 610이 좀 더 좋음


다이나톤 DPS-8H \1,038,000 80H의 하위기종. ARHA건반. 3000시리즈 음원.


다이나톤 DPS-80H \1,083,000 8H의 상위기종. ARHA건반에 상아조코팅을 
                                                접목하여 고급화. 
                                                         3000시리즈에서 5000시리즈로 음원도 업그레이드
                                                         다이나톤 80H와 야마하YDP-162의 타건감은 유사
                                                         내구성은 80H건반이 야마하GH건반보다는 떨어짐.
                                                      커즈와일 모델 중 80H모델과 YDP-162와 견줄 수 있는
                                                  모델은 M3F, MP10F, RG1F, CUP-210,110 5개모델뿐.
                                                        다이나톤 80H와 경쟁모델 카시오AP460임.
                                                        카시오는 3센서라 반응력에서 조금더 유리.
                                               음색은 개인선호도 차이
                                               카시오쪽이 좀더 또랑또랑한 느낌. 80H는 유럽풍의 리얼 음색.





커즈와일


커즈와일 KA-90 \549,000 가격은 P-115와 비슷함. 그러나 피아노만 생각하면
                                         P-115가 KA-90보다 상급. 다양한 평션이 들어가있음.


커즈와일 M1A  \1,150,000 이거 상위기종이 RG1F, MP10F기종임.
                                                  마라칩 싱글로 적용한 모델.
                                                 고유의 커즈와일 음색적 특징을 보여줌
                                         거칠면서 웅장하고 어두운 느낌  
                                                 건반은 EPH-A.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타건감


커즈와일 MP10F \1,009,000

커즈와일 RG1S \1,260,000 커즈와일 브랜드지만 다이나톤 DPS-80H와
                                                   커즈와일 MD-1에 들어간
                                                   드림사 5000시리즈 칩이 사용된 모델
                                                   건반은 M1A와 같은 EPH-A건반을 사용
                                                   M1a와는 음원차이


커즈와일 RG1F \1,349,000 MP10F와 RG1E제품은 서로 음색이 다름
                                          샘플링 대상 피아노의 차이
                                        건반은 같으나 음색으로 결정. YDP-162보단 이게 나음.
                                          다이나톤 DPS-80H과 견줄 수 있음.
                                                  커즈와일 cup-220으로 안간다면
                                                   rg1f와 m1a 같은 건반, 경쟁모델


M1 plus M1a M110중 M110은 마라칩이 적용안됨
M1 plus와 M1a는 오리지날 커즈와일 마라칩사용
m1 plus가 좀더 선호

롤랜드 fp-20 rp-301 필g건반 롤랜드최하위건반
rp-401은 f-130의 형제모델
f-140은 음원개선,블루투스 헤드폰 3d기능 보강
fp-30, f-140 pha-4건반이 더 좋음


커즈와일 CUP-210 \1,515,000 cup-210와 mp10f를 비교한다면 
                                                           cup-210 듀얼 마라칩 모델
                                 mp10f 싱글마라칩 모델 동시발음수,샘플링, 레이어수가 모두 2배차이
                                        cup-210와 cup-120를 비교한다면 피아노 음색 외 세부스펙은 
                                  120이 아주 조금 더 좋음. 210은 국내생산이라 좀더 안정적임


커즈와일 CUP-220 \1,409,000 cup-210 vs cup-220 스펙은 같고 목건반유무
                                        cup-220와 rg1f를 비교하면 헤드폰없이 연주용이라면 rg1f를 추천.
                                               전면 후면 스피커4개에 자체음원칩인 마라칩으로 소리는 좋음
                                               M1A와 RG1S 두모델과는 급이 다름
                                             커즈와일 최상위 시리즈인 CUP시리즈의 주력모델중 하나.
                                       커즈와일 고유칩인 마라칩을 듀얼로 탑재
                                     음원 베이스는 커즈와일 최상위 신디사이저 포르테에 기원
                                          마라칩을 듀얼로 병렬탑재하여 샘플링 레이어 및 동시발음수,
                                       용량등이 모두 싱글마라칩에 2배
                               음색적 특징은 거친부분은 정재되고 전통 유럽풍에 무게감있고 웅장한 느낌.
                                                건반은 이태리 파타사의 목건반을 맞쳐 세팅후 탑재



야마하 
          
야마하P-45 \444,110 이거 상급이 P-115. 음원과 동시발음수 iAC 그리고 리듬수, 
                                         음색수에서 차이남 건반은 GHS


야마하P-105 \502,640 다른제품과 비교하면 실망할수도. 타건감소음 심함.P-105 ,
                                     P-115 동일 GHS건반.
                                            카시오PX-150과 경쟁모델


야마하P-115 \551,690 건반은 GHS. 코르그B1, 카시오PX-160과 비교시
                                            건반의 타건감은 코르그B1과 카시오PX-160이 더 좋음.
                                            병행제품,일본제품으로 나눠짐. 스펙상 차이가 있음.
                                            다이나톤 DPP-610과 비교시 건반과 기능은 P-115가 떨어지고
                                            디자인과 음색은 이게 나을수도 있음(취향차이)


야마하YDP-141 \775,580 이건 P-115와 비교할때 P-115가 훨씬 좋음.(무조건)


야마하YDP-142 \815,020 역시나 P-115가 더 좋은 선택.
                                         금액적으로도 스펙적으로도 더 이익임.


야마하YDP-163 \1,195,100 커즈와일 RG1F나 MP10F보단 스펙이 조금 더 좋음.
                                                    그러나 큰 차이는 아님.



카시오 

카시오 PX-150 \520,000 350과 비교시 음색,타건감의 차이는 별로없고 다만
                                        스피커의 질이 더 좋고 녹음기능등이 있음
                                       건반의 타건소음이 심함
                                               CDP-100,120, 다이나톤 650PRO중 PX-150이 나음
                                              음원과 3센서 건반의 조합 때문.
                                       P-105와 경쟁모델. P-105보다 빠른 반응력을 보여주고
                                      속주에 더 유리한 면을 보여주는 장점.

카시오PX-160 \450,000 가성비 좋은 제품, 소리와 타건감도 괜찮음
                                        60만원미만. 인조상아건반
                                               PX-150에서 스피커시스템도 변경되고, 음색도 바뀜
                                              150에서 건반의 타건소음을 개선함


카시오 PX-330 \641,790


카시오 PX-350 \549,000 P-105,MPS20과 비교시 건반이 무거운느낌.


카시오 PX-750 \649,900 이놈은 px-150의 외형을 슬림형에 덮개가
                                       있는 형태로 만듬. 
                                               피아노 중심 px-150과 비교시 스피커출력차이가 있어
                                       750이 더 좋음동시발음수 128
                                               mps10과 비교시 750이 건반도 그렇고 나무스탠드가 기본이라
                                               안정감도 더 좋고 하드웨어덮개도 있어 관리 시 더 좋음


카시오 PX-850 \865,000 상대적으로 출력이 약한 750대비 대포적인 
                                       스피커 시스템강화. 상단개폐,
                                      동시발음수 128에서 256으로 두배 증가.콘솔형에 가까움
                                          750과 같은 건반과 음원. 그러나 그랜드피아노 상판의 4가지 상태를
                         시물레이션해주는 리드시물레이터가 내장되어 750과는 음색이 약간 다를것.
                                               레조넌스 기능 추가



카시오 dcp와 카시오 px시리즈는 야마하p-115와 p-45와 관계로 생각하면 됨
사용 되는 음원이 낮으며 동시발음수도 낮음.

cdp-230r은 px-350이라고 생각하면 됨
cdp-130은 px-150,160이라고 생각하면 됨
cdp-230r은 다양한 음색 및 리듬 등을 활용 가능한 피아노
cdp130은 피아노 연주 중심의 기능이 컴팩트한 스테이지 디피
px시리즈가 cdp시리즈보다 확실한 상위 모델.


MPS20 건반 달그락 거림이 조금 더 있음. 건반을 눌렀을때 아주 살짝 늦게 반응
      건반도 조금 더 가벼움.



롤랜드


롤랜드FP-20 \1,329,800 타건감은 이스케이프먼트 기능으로
                                        어쿠스틱 피아노와 비슷한 느낌.
                                               PX-160,P-105보단 타건감이 좋을수도 음색은 
                                       조금 어둡고 깊은 느낌 고음부 소리가 어두움.                                                              하지만 인터페이스 조작을 통해 해소 가능.


롤랜드FP-30 \975,100 PHA4건반. FP-50보다 상위건반이라 타건감은 더 우수.
                                            FP-20과 비교할때 성능에 간격이 있음. 
                                           건반의 타건감차이는 차이가 많이나 FP-30이 더 좋음.
                                     FP-50과 비교할때 PHA4 건반을 사용한 가성비에서 이제품이 더 최고. 
                                      블루투스 연결지원도 있음. 타건감이 좋음. P-115보다 월등히 좋음
                                        건반으로보면 F-50보다 좋음.


롤랜드FP-50 \1,231,220 아이보리필G건반. 
                                  건반에서 FP-30보다 떨어지지만 음색은 FP-20,30보다 좋음. 
                                       음색적 완성도가 더 높음


롤랜드 RP-301 \1,151,580 이제품은 RP-401전모델로
                                            F-140보다 구형에 성능도 1단계 이상 떨어짐.


롤랜드 F-140 \1,104,300  PHA4건반사용. 야마하건반GH3X급이상 평가받고 있음. 
                                                 야마하CLP-535와 비교해도 스펙적으로 우위에 있음
                                     FP-50과 비교시 더 개선된 음원으로 FP-50보다 소리가 좋은편. 
                                                  음색으론 FP-30,50보다 좋음.
                                                  그러나 FP-30은 스테이지형이고 F-140은 콘솔형임.
                                        롤랜드 F-140만 하더라도 이미 가성비에 있어서 뛰어난 평
                                        적용된 4센서의 PHA4건반은 롤랜드 외에는 유일한 
                                       4센서 건반으로 3센서 건반대비 관련해서 반응력,
                                       샘여림 폭에서 큰 차이
                                               다이나톤 dpr-3170s와 롤랜드 f-140 순수 성능 위주로
                                       비교시 롤랜드 F-140이 우위
                                              PHA4건반은 야마하 GH3X급 이상으로 평가를 받고 있는
                                      표현력이 좋은 건반이며, 
                                              롤랜드하면 전문 연주자들이 기본적으로 하나씩은 가지고 있는
                                              디지털 전문 악기 제조사로 그 음원의 완성도에 있어서도
                                              이미 검증이된 제조사
                                             물론 다이나톤이 국내 제조사로 많이 발전된 것도 사실이고
                                             개발에 많은 비용을 들이고 발전하고 있어 3170S도
                                             나름 좋은 모델인건 맞지만 아직 일본 제조사의
                                             주력 모델들과 비교하기에는 부족한 감


롤랜드 HP-504 \1,648,000 Hp-504의 경우 블루투스는 지원x 장점은
                                           건반의 감성 느낌
                                                    PHA4 프리미엄 건반이 탑재되어서 F-140의 정확성, 
                                                    셈여림폭에 터치 시 감성느낌이 향상됨




HP-603 \2,314,000 : 넘사벽, 완전히 급이 다른 모델, 603에 사용되는 음원, 
                      건반 모두 야마하 CLP-545이상 585와비교시에도 더 위급이라고
                     판단됨. 단, 585의 경우 스피커시스템과 디자인이 장점이라 직접 비교는 무의미
                         셈여림표현은 단연 압도적, CLP585나 GP300은 따라갈 수 없다.
                        동시발음도 피아노의 경우 무제한. 이스케이프먼트는 HP-603이 인상적이다. 
                        로랜드의 LX/HP시리즈 같은 건반과 음원을 사용함. 심지어 GP607이라는
                       그랜드형모델에도 동일하게 건반과 음원을 사용.
             HP-603은 가장최상급 건반을 이기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했기에 200만원대중 가성비 최고.
 

F-140과 hp-603 비교
Hp-603은 천만원대 GP607 과 건반 및 음원을 공유하는 모델로서 롤랜드의 최신 기술력이 모두 들어가 있음.
상위 모델에 비해 부족한 외형 및 스피커 시스템을 제외하면 최고의 디피
200만원대 예산까지는 고민할 필요없이 지르시면 됨.
그리고 100~150만원 정도까지 예산이라면 슬림형을 배제하지 않는 다면 F-140가 가장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됨.
그런데 만약 160~180 만원 정도의 예산이라면 그 가격대의 디피가 조금 애매한 위치라 생각되므로 조금 더 써서 HP-603사셈

롤랜드 HP-603은 모든 디피를 다 합쳐도 하이엔드급 모델이라고 보시면 됨.
적용되어있는 피지컬 모델링 방식의 음원은 디지털피아노가 앞으로 가야할 궁극적인 음원 방식으로 생각되는 방향.
가상악기 중 상당히 유명한 피아노텍이란 VSTI에서 이미 검증이된 방식
또한 미세한 조정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나에게 음색을 최적화 시킬 수 있다는 점이 상당히 매력
또한 함께 적용된 PHA-50건반은 해당 음원과 어울려 폭 넓은 샘여림과 반응속도, 정확성에 있어서 TOP수준.

다만 취미용으로 사용하기에는 고가이기 때문에 단순 취미용으로 사용하실 목적이시라면 롤랜드 F-140도 전혀 나쁜 선택은 아님
롤랜드 F-140만 하더라도 이미 가성비에 있어서 뛰어난 평
적용된 4센서의 PHA4건반은 롤랜드 외에는 유일한 4센서 건반으로 3센서 건반대비 관련해서 반응력, 샘여림 폭에서 큰 차이


       
 요약 : 롤랜드 GP/LX/DP/HP 시리즈 : 피지컬 모델링에 따른 압도적인
        100단계의 셈여림(야마하 N3가 10단계) 최상급 건반





가X이

가X이 es-100 \864,500 역시 px-160과 p-115보단 더 좋고 더 비쌈 ㅠㅠ


CA-15 \2,115,800 가x이 최상급 GF건반(RM3 grand ii건반). 목건반
                                     발런스 핀 포인트가 그랜드 피아노 건반과 
                                완전히 동일한 구조. 타건감의 상승!
                                     동시발음수 192, 8음색
                                가x이 CA시리즈의 목건반이 야마하 NWX대비 무거움.
                                     즉 건반무게는 CLP-545보다 무거움
                                     동급은 야마하 CLP 545~575
                               동급은 롤랜드 HP시리즈


CA-17 \1,599,000 4스피커시스템 
                                    상아 조 건반 소재의 아이보리 터치
                                    야마하clp-545와 비교시 clp-545가 나음.
                                    스피커를 통해 듣는 소리는 clp-545가 좋음.


CA-65 \????????? 상아건반, 새음원, 신개발 그랜드 필 페달 시스템
                                새 나무 건반 그랜드 필 액션
                                     쇼팽국제피아노콩쿠르에서 실제 활약한
                               가x이 콘서트 그랜드 피아노 "EX" 샘플링
                                     CA-65와 CA-67의 차이는 사운드 종류의 다양성차이
                                    예)피자만 먹는거랑 피클이랑 먹는차이
                                 탕수육만 먹는거랑 소스찍어먹는 차이
                                 햄버거만 먹는거랑 콜라랑 같이 먹는 차이
                                 치킨만 먹는거랑 치맥의 차이
                                     동급으로 가격에선 야마하 CLP-575
                                     동급으로 성능에선 야마하 CLP-585


CA-67 \2,337,500 동시발음수 256 60음색. CA-65와 비교시
                                     시게루가x이,그랜드피아노음색추가
                                     동급으로 가격에선 야마하 CLP-575
                               동급으로 성능에선 야마하 CLP-585
                               그랜드피아노와 같은 건반길이, 통 목건반


CA-95 \3,203,500 CA-65와 가장 큰 차이점은 향판스피커시스템의 채용
                                     외형적으로 2가지 부분에서 차이
                                     새음원 그랜드 피아노의 느낌, 새로운 나무 건반
                               그랜드필조치, 상아건반의 촉감을 재현하는 아이보리터치
                               동시발음수 256, 80음색


CA-97 \3,145,000 향판으로 업라이트를 흉내내는 울림.
                              CA-67과 비교시 좀 더 높은 
                                    사운드 보드 스피커시스템을 쓰고 향판때문에
                                   소리가 더 좋음. 소리에 민감하면 이 제품이 나을지도! 




2016년 12월 20일자 기준 
가격은 네이버 최저가로 올렸습니다






100만원대 디피 종합

음색을 따진다면 야마하
건반의 타건감을 따진다면 카시오
롤랜드도 타건감 좋음.

4-50만원대중
코르그B1 vs 야마하P-115 vs 카시오PX-160 중
다른기능 필요없고 건반과 음색은 코르그B1
카시오는 건반이 좋으나 B1보단 밀림
야마하P-115는 건반은 제일 밀리나 특유의 음색












멜번하트님 曰
롤랜드와 야마하?
" 두 사람이 프랑스 파리에 서 있습니다.
한 사람은 에펠탑을 사진을 찍어서 초 고성능 프린터로 출력을 했구요.
다른 한 사람은, 캔버스를 펼쳐서, 에펠탑을 정교하게 그렸습니다.

지나가던 사람이 말합니다. '역시 그림은 사진을 따라오지 못해. 난 그래서
사진이 좋아.'
에펠탑 그림을 택하시겠어요? 에펠탑 사진을 택하시겠어요?

야마하와 롤랜드가 딱 그렇습니다.
야마하는 야마하 최상의 그랜드피아노에서 소리를 샘플링(녹음)해서 음원으로
채택했고, 
롤랜드는 피아노 소리의 여러가지 요소들을 컴퓨터로 만들어낸거라고 보면 됩니다

결국, 둘 다 눈으로 보는 에펠탑 실물 같지는 않습니다.
제 아무리 최고의 그랜드 피아노에서 샘플링해도,
야마하는 마이크 녹음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원음에서 손실이 발생하고
롤랜드는 음원 자체가 컴퓨터 계산으로 만들어진거라, 실물 어쿠스틱과 차이가 발생합니다.
결국은 둘 다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전자음입니다.

전자음원에 있어서는 롤랜드 기술이 한발 앞섭니다. 
다만 스피커에서 만들어진 소리가 울려퍼지는 케이스와 건반느낌은 야마하가 노하우가 또 있습니다. "







경고 : 여기서부터는 200만원대 피아노
를 정리했습니다. (필자가 직접 만져봄)
그러나 사람마다 터치감과 음색의
취향이 다를 수 있기에 직접 매장에가서 연주해보시길 적극 추천합니다.




HP-603 : 넘사벽, 완전히 급이 다른 모델, 603에 사용되는 음원, 
                      건반 모두 야마하 CLP-545이상 585와비교시에도 더 위급이라고
                     판단됨. 단, 585의 경우 스피커시스템과 디자인이 장점이라 직접 비교는 무의미
                         셈여림표현은 단연 압도적, CLP585나 GP300은 따라갈 수 없다.
                        동시발음도 피아노의 경우 무제한. 이스케이프먼트는 HP-603이 인상적이다. 
                        로랜드의 LX/HP시리즈 같은 건반과 음원을 사용함. 심지어 GP607이라는
                       그랜드형모델에도 동일하게 건반과 음원을 사용.
             HP-603은 가장최상급 건반을 이기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했기에 200만원대중 가성비 최고.
         
 요약 : 로랜드 GP/LX/DP/HP 시리즈 : 피지컬 모델링에 따른 압도적인
        100단계의 셈여림(야마하 N3가 10단계) 최상급 건반


GP-300 : GP-300이 리얼리티한 타건감은 가장 좋음, 해머까지 재현 
                       해머까지 구현한 최고의 타건감


CLP-585 : 현시점에서 GP-300, HP-603과 비교했을때 타건감이 가장 떨어진다. 
                              장점은 스피커시스템과 업라이트와 흡사한 디자인. 
                              CLP-585보다 더 상위 건반은 NU1, N1, N2, N3시리즈이지만 이건
                              하이브리드 피아노라고 부름. 일반 어쿠스틱의 건반 메카니즘을 그대로
                              가져와서 쓰고 사운드만 디피 메카니즘을 사용 최상급 디피(하이브리드 제품                                NU1. N1, N2, N3)를 제외하면 건반 수준은 야마하가 부족함.

             CLP-545와 비교시 건반이 다름. NHX리니얼카운트 건반 - CLP545의 NWX일반건반과는 
          차별화된 평형추타건감에 있어서도 575와 585는 상당히 많이 차이남."

CLP-545 : CLP-585와 비교했을때 당연 떨어짐. 건반이 다름.
                              NHX건반 타건감에 있어서는 545와 575는 차이가 크지 않지만 575와
                        585는 상당히 많이 남. 스피커 시스템에서도 차이가 큼.
                            525와 545를 비교할경우 525는 GH3 1세대 전건반이지만 545는 NWX건반이다. 
                            NWX건반의 경우 4단계로 구분되어 건반 무게감디 다름"
                                        CLP-545 목건반, 스피커4개 
CLP-535 : 야마하CLP-535와 커즈와일 CUP-220비교한다면, 서로 장단점이 있다. 
                               건반의 무게는 CLP-535쪽이 좀 더 무겁다전반적인 건반의
                          품질은 CUP-220이 목건반이라 품질은 조금 앞서지만
                          그외 성능은 유사하다고 생각 두모델 전부 스피커를 통한 사용시에는
                              약간 답답한감 두 모델 전부 거실보다는 방이 적합."
 
CLP-535와 CLP-545를 비교했을때 스펙은 목건반이냐 아니냐, 스피커가 4개냐 2개냐에 갈림.
 CLP-545 목건반, 스피커4개    CLP-535 스피커2개 스피커출력차이와 목건반유무
                                    CLP-535는 방에서 사용하기 적당
                        저음 울림현상 

YDP-163 : YDP-163과 CLP-535와 비교시 535가 당연히 좋음.
                               CLP-535에는 CFX음원이 사용, 건반도 GH3X건반이 채용. 
                          음원, 건반이 한단계 이상씩 535가 앞섬.







고가 디피종합
 
  타건감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면 GP-300
       
    섬세한 터치와 좋은건반, 셈여림과 
    피지컬 모델링 음원의 장점을 느끼려면 
    HP-603 (200만원대중에선 최상)
       
  CLP-545와 575를 비교하자면 큰차이는 없지만 
  CLP-575와 CLP-585를 비교하면 차이가 많이남.
  CLP-545 / CLP-585 분기점
  CLP-545와 535를 비교하면 목건반유무,
 스피커개수차이

 YDP-163과 CLP-535를 비교하면 음원,
 건반 한단계이상씩 CLP-535가 앞섬



p.s. 글 수정하다가 삭제되어서 다시 올립니다 ㅠ

디지털피아노를 계속 추가할 예정입니다. (언제 추가할진 모르지만..)

참고용으로만 봐주세요


디지털피아노와 컴퓨터 연결방법 및 원리

디지털피아노와 컴퓨터연결후 녹화방법(요점)

디지털피아노와 스마트폰 연결후 녹화방법(요점)

51
댓글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