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eScore 사용 방법 및 악보 작성 방법 Lv. 1

베스트 글에 뮤즈스코어가 올라와있어 1년동안 사용한 유저로서 자세한 사용 방법 및 활용시의 테크닉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자 위에 있는 화면이 실행을 시키면 뜨는 메인 화면입니다 실행시에 시작센터가 뜨는데 일단 그건 넘기고 설명 들어가겠습니다.


1번 

기본적인 메뉴 파일입니다. 왼쪽부터 차례로 새 파일(새로운 피아노시트를 만든다) , 열기 (만들어 놓은 파일을 불러온다) , 저장(선택된 시트를 저장한다) , 인쇄 (해당 시트를 인쇄한다) , 마지막으로 실행된곳으로 되돌리기,  마지막 되돌리기 다시 실행

****** 단축키 ****************

해당 단축키는 윈도우의 기본적인 단축키들과 동일 합니다.

새파일 Ctrl + n 폴더 열기 Ctrl + O 저장 Ctrl + S 인쇄 Ctrl + P

이전실행으로 되돌리기 Ctrl + Z 되돌리기를 다시 실행 Ctrl + Y

********************************

2번

시트 페이지의 확대 및 축소입니다. 옆의 메뉴는 페이지 식으로 볼것이냐 일렬로 정렬해서 볼것이냐의 메뉴입니다

3번

작성한 악보를 실행시켜 음을 들어볼수있는 플레이 버튼들입니다 

사각으로 쳐져있지는 않지만 옆에 활성화가 되있는 버튼은 왼쪽것은 재생시 악보상의 도돌이표를 실행을 할것인지 실행을 하지 않을 것인지 결정하는 버튼입니다.

오른쪽 것은 재생시 악보의 음표를 따라 갈것인지를 결정하는 버튼입니다.

재생의 단축키는  스페이스바 입니다. 편집 모드이던 해제모드이던 실행 해당 선택 마디에서 음이 재생됩니다.

4번

프로그램을 사용을 하시면 제일 많이 사용하는 부분입니다. 편집 모드 실행및 해제 와 음표길이 설정 붙임줄버튼입니다

***단축키 (단축키는 한글입력모드로 있을시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영문으로 바꾸시고 실행하시길)*****

N (편집모드를 실행 및 해제)

숫자 1 ~ 9  음표의 길이를 선택하는 단축키입니다 키보드의 자판위의 숫자키 숫자자판의 숫자 다입력됩니다.

 .  <--- 마침표 부점을 입력합니다. 겹부점은 단축키가 없으니 마우스로 선택

*************************************************************************************************************

5번

음표의 올림표나 내림표를 설정하는 버튼입니다. 젤 오른쪽에 있는 버튼은 음표기둥의 위 아래를 설정하는 버튼입니다.

올림표나 내림표는 따로 단축키는 없고 방향키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강제적으로 넣고 싶다면 해당음표를 선택후 해당 표를 클릭을 하면 입력이 완료 됩니다.

****단축키****

X 음표기둥의 위 아래방향을 설정하는 버튼입니다.


6번

악보의 레이어를 덧씌울수있는 버튼입니다.

해당버튼은 편집모드와 해제모드에서의 동작이 다릅니다.

편집모드시

그림과 같이 레이어를 덧씌워 음표를 입력 할 수 있습니다.

해제 모드시

파란색으로 선택된 음표를 레이어 2번을 클릭시 

이런식으로 겹쳐있는 음표를 해당번호 레이어로 나누어 버립니다.

*********** 단축키 ************************************

Ctrl + Alt + 1~4 해당 번호의 레이어로 설정이 된다

********************************************************

7번 

해당 팔레트 메뉴는 음표설정과 같이 제일 많이 사용하게 될 메뉴 바 입니다. 기본 모드와 고급모드가 있습니다.

가급적 고급 모드를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

이 메뉴는 단축키가 있는 메뉴는 얼마 없고 마우스로 드래그 및 더블클릭으로 입력이 됩니다.


모든 입력키들은 편집모드와 편집 해제 모드시에 실행이 되는것이 다릅니다. 이건 차차설명하겠습니다.


이로서 기본적인 메뉴바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처음 깔았을때는 요소라는 메뉴바도 있지만 저는 잘쓰지 않아서 넣지는 않았습니다.

다음번에 담길 내용은 제일 많이 쓰게될 파일(Alt +F) 메뉴와 저장시의 파일 변환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4
댓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