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른쪽 상단에 * (원래는 점이지만 핸드폰에 없는관계로 별로대체)이 있으면 감화음(단3도 - 감5도) , + 가 있으면 증화음(장3도 - 증5도)입니다 그리고 로마자 대문자는 장화음(장3도 - 완전5도) 소문자는 단화음(단3도 - 완전5도)입니다
주3화음(장조) : I(으뜸화음) IV(버금딸림화음) V(딸림화음)
부3화음(장조) : ii(2화음) iii(3화음) vi(6화음) vii*(7화음)
주 3화음 (단조) : i , iv , V
부 3화음(단조) : ii* , III+ , VI , vii*
주3화음의 기본위치시 근음 중복3개까지 가능 생략 불가 3음 중복불가 생략또한 불가 , 5음은 중복2개까지가능 생략도 가능 ( 주3화음과 부3화음 모두 기본위치에선 근음 생략이 가장 좋음)
주3화음의 1전위와 2전위시에는 모든음이 생략불가능 하게됩니다 또한 주3화음과 부3화음 (7화음제외) 의 제2전위 시에는 5음을 중복하는것이 가장 바람직함 왜냐하면 가장 힘이 없는 5음이 베이스라는 막중한 파트를 맡게되어 5음을 하나더 추가하여 최대한 베이스파트를 잘 수행할 수 있게함
부3화음의 기본위치/전위 시 모두 생략이 가능한 음은 없습니다 그리고 또한 대리화음( 부3화음의 근음보다 3도 위에 음을 근음으로 하는 주화음의 해당되는 음을 2개 가지고있어 그 음을 대신하여 사용해주는것)이라는 개념으로인해 부3화음의 3음은 대리화음(주3화음) 의 근음이 되므로 가장 중복하기에 좋고 그다음으론 근음중복이 바람직하며 부3화음의 5음은 주3화음의 3음에 위치하게되어 중복도 생략도 불가능하다 단 제2전위로 5음이 베이스 파트에 왔을경우엔 중복이 가능하다
7화음은 근음이 이끈음이기에 근음 중복이 불가능하고 3음을 중복하는게 매우매우 바람직하다 5음은 중복은 가능하지만 거의 안쓰는게 좋다 ( 3음중복과 5음중복의 사용비율 9:1)
++ 단조에서 V 또는 III+또는 vii* 를 사용할 경우 이끈음 (각각 3음 5음 근음) 에 반음을 올려주어 (화성단음계) 이끈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한다